기업분석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반도체 주력 플레이어

캐시팀버 2025. 5. 5. 08:00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AI와 HBM 수요 폭발, 그 중심에 선 종합 장비 기업

2025년 하반기, 반도체 장비주 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이고 꾸준한 기업으로 다시 한 번 주목받는 종목이 있습니다.
바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pplied Materials, AMAT).
한때 고점 대비 40% 넘게 조정받았던 이 종목은,
AI 인프라 투자 확대 + 미국 반도체법 수혜 + 실적 반등이라는 트리플 모멘텀 속에서
다시 우상향 흐름의 초입에 들어선 모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 왜 AMAT가 하반기 반도체 수혜주로 가장 유력한지,
  • 현재 펀더멘털은 어떤지,
  • 그리고 지금 매수 전략은 어떻게 잡아야 할지
    세 가지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업개요]

 

  • 설립 연도: 1967년 (반도체 장비 제조업 선도 기업)
  • 상장 시장: 미국 나스닥 (NASDAQ: AMAT)
  • 주요 사업: 반도체 제조용 장비 (식각, 증착, 패터닝, CMP 등) 개발 및 공급
  • 대표 제품군: CVD·PVD·ALD 증착장비, 식각장비, CMP·패터닝, 검사 및 계측 장비
  • 주요 수익 부문: 반도체 전공정 장비 > 서비스(AGS) > 디스플레이 장비 > 기타 신사업
  • 핵심 고객사: TSMC, 삼성전자, 인텔, 마이크론,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Top Tier
  • 공정 범위: 전공정 대부분 커버 가능 (증착·식각·세정·계측·패키징 등)
  • 특징 요약:
     →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점유율 1위 종합 제조사
     → AI, 고성능 메모리(HBM) 시대 수혜주
     → 미국 CHIPS법 수혜 대상, R&D 투자 지속 확대

 

1. 최신 실적및 전망
항목 2022년 2023년 2024년
매출액 (백만 USD) 25,785 26,517 27,176
영업이익 7,781 7,533 7,867
영업이익률 30.2% 28.4% 28.9%
순이익 6,525 6,856 7,177
자산총계 25,825 30,729 34,409
부채총계 13,578 14,380 15,408
자본총계 12,247 16,349 19,001

📝 요약

  • 3년간 안정적인 매출 및 순이익 증가
  • 영업이익률 30%에 근접, 반도체 장비 업계 내 최상위권
  • 자산 증가율 > 부채 증가율 → 재무 건전성 강화 중

[Trading View] 성장및 수익성

  • 2020~2024년 매출과 순이익 모두 꾸준한 우상향 흐름 유지
  • 2021년 이후 순이익률(넷 마진)이 25% 이상을 안정적으로 기록
  • 반도체 업황 둔화기에도 고수익성 유지 → 기술력 기반의 견고한 수익 구조

[Trading View] 재무 건전성

 

  • 2024년 3~4분기까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부채보다 높은 안정적 구조 유지
  • 2025년 1분기에는 현금성 자산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부채 대비 우위
  • 잉여현금흐름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유동성 리스크는 낮음.
2.최신 투자지표(2025년 4월30일 기준)
항목 수치
시가총액 약 $1,215억 (147.5달러 기준)
PER 19.2배 (업계 평균 23.8배 대비 저평가)
PBR 6.5배
PSR 4.4배
ROE 35.2%
배당수익률 연 1.08% (연 $1.60, 분기 배당: 2·5·8·11월)
애널리스트 의견 35명 중 27명 ‘매수’(19 매수 + 8 적극 매수)

📝  요약

  • PER 19배, ROE 35% → 높은 수익성과 양호한 밸류에이션
  • 배당도 분기 기준으로 지급 중, 안정성과 성장을 겸비한 종목
  • 전문가 77% 이상이 매수 의견 → 시장 신뢰도 매우 높음

  • 2024년 기준 P/E 19배, P/S 4.4배 수준으로 기술주 평균 대비 합리적
  • 2022년 일시적 저평가 구간을 지나 최근 밸류에이션 회복 추세
  • 실적 성장과 함께 적절한 프리미엄이 반영되는 안정적 흐름
3. 경쟁사
기업명 시가총액 주력 사업
AMAT 약 1,215억 달러 반도체 장비 업계 최상위
ASML 약 4,500억 달러 EUV 노광 장비 (전 세계 독점 공급)
Lam Research (LRCX) 약 1,200억 달러 식각·증착 장비
KLA Corporation 약 800억 달러 검사·계측 장비
Tokyo Electron (TEL) 약 700억 달러 식각·세정·증착 장비
Canon (반도체 부문) 약 300억 달러 DUV 노광 장비 (디스플레이·메모리용 중심)

1.ASML

  • EUV 노광장비 독점 공급업체.
  • 전 세계에서 극자외선(EUV) 장비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
  • 고객사: TSMC, 삼성전자, 인텔 등 전 세계 파운드리 기업.
    👉 AMAT와 직접 경쟁은 적음. 독점적인 노광 공정 중심. 기술 장벽이 매우 높음.

2. Lam Research (LRCX)

  • 식각(Etch), 증착(Deposition) 공정 특화 장비 업체.
  • DRAM·NAND용 장비 점유율 높음, 삼성·SK하이닉스 핵심 파트너.
  • AMAT와 가장 직접적인 경쟁 관계.
    👉 공정별 점유율 싸움. 수익성과 기술력은 AMAT보다 다소 보수적이나 고정 고객 탄탄.

3. KLA Corporation

  • 반도체 공정 중 검사·계측 장비 분야 글로벌 1위.
  • Litho(노광) 및 Etch 공정의 결함 분석·수율 검증에 필수 장비 공급.
  • 고객사: 인텔, 마이크론, TSMC 등
    👉 AMAT와 직접 공정 겹치진 않음. 공정 품질 관리에 특화된 간접 경쟁자.

4. Tokyo Electron (TEL)

  • 일본 반도체 장비 대장주. 식각, 증착, 클리닝 장비 전반을 커버.
  • 아시아 고객사와 관계 깊고, AMAT의 아시아 시장 경쟁자 역할.
  • DRAM 및 로직 공정용 장비 점유율 확대 중.
    👉 AMAT와 공정 겹침 다수. 기술 격차는 크지 않지만, 글로벌 공급망/서비스 차이 존재.

5. Canon / Nikon (반도체 부문)

  • 일본 내 노광장비 공급업체.
  • 주로 DUV(Deep UV) 장비 중심, 미세공정에서 EUV에 밀림.
  • 현재는 디스플레이·메모리용 라인에 공급 비중 큼.
    👉 AMAT와 직접 경쟁 거의 없음. 노광 시장에서는 ASML에 완전히 밀린 상태.

[요약]

  • 직접 경쟁: Lam Research, Tokyo Electron
  • 간접 보완·공정 협력 경쟁: KLA, ASML
  • 기술/생태계 경쟁은 다양하나, AMAT는 장비 범위가 가장 넓고 안정적인 종합 장비 업체라는 점에서 여전히 포지션 확고함.

[AMAT의 특장점]

 

1.기술 리더십 및 제품 포트폴리오

  •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 50%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AI 서버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패키징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제조업체들의 7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 반도체 제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및 신시장까지 사업 다각화에 성공하였습니다.
  •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재무 안정성 및 주주 환원 정책

  • 2024년 기준 매출총이익률은 47.5%로 업계 평균을 상회합니다.
  • 주당 순이익(EPS)은 8.61달러, 주가수익비율(PER)은 21.69배로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배당수익률은 0.8%로 안정적인 주주 환원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 미국내 공장 및 생산 거점

  • 본사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미국 내 다양한 지역에 연구개발(R&D) 센터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미국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른 보조금 신청을 통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 AI, IoT, 5G 기술 발전에 따른 첨단 반도체 수요 증가에 맞춰 생산성 혁신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2025년까지 매출 55% 증가잉여 현금흐름의 80~100%를 주주 환원할 계획입니다.
  •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로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리스크

1.펀더멘털적 리스크

  • 중국 비중이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
    → 미·중 수출 규제 강화 시 직격탄 가능성
  • 고객사 투자 축소 시 매출 급감 우려
    → 특히 DRAM/NAND 경기 둔화 시 영향 큼
  • 기술 고도화 경쟁 가속 → R&D 비용 부담 지속적 증가

2. 산업적/거시적 리스크

  • 미국 정부의 對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 지속
    → 2025년 약 4억 달러 매출 손실 예상
  • 미·중 갈등 장기화 시 고객·지역 다변화가 필수
  • 반도체 장비 업계는 투자 사이클에 민감 → 침체 시 실적 급감

3. 기술적 차트 요약 (2025년 4월 기준)

  • 월봉 기준 장기 상승추세 유효 (저점 $123 → 현 $147)
  • 주봉: $160 저항선 돌파 시 중기 추세 반전 가능
  • 일봉: 200일선 부근, 눌림목 진입 시 $140대 매수 유효
  • 핵심 가격 구간:
     • 지지선 $140
     • 저항선 $160
     • 중장기 목표가 $185~200
5. 기술적 차트분석(2025년 4월30일 기준)

1. 장기흐름-월봉

[야후 파이낸스] 5Y

  • 최근 5년간 196.82%상승
  • 2015년 저점 $14.25 → 2024년 고점 $255.89 (약 +935%)
  • →이후 약 –42% 하락, 현재 $147선에 위치
  • 120MA 장기 이평선 위에서 지지 중
  • 장기 사이클상 2년 단위의 큰 파동 주기에서 조정 구간 마무리 국면 가능성

👉→ 장기 상승 추세선은 여전히 유효하며, 중장기 재진입 고려 가능


2. 중기흐름-주봉

[야후 파이낸스] 1Y

  • 최근 1년간 -25.78%하락
  • $160 부근 60주선 저항이 주요 분기점
  • 거래량 동반 상승 + 5·20·60선 수렴 → 단기 골든크로스 대기

👉 → $160 돌파 시 중기 추세 전환 신호. 당장은 박스권 매매 유효 ($125~$160)


3. 단기 흐름-일봉 

[야후 파이낸스] 1M

  • 최근 1달간 1.68%상승
  • $123 저점 이후 강한 기술적 반등, 현재 $147 부근
  • 하지만 200일 이평선 저항 직전, 단기 눌림 가능성
  • RSI는 과매도 구간 탈출, 단기 매수세 유입은 확인

👉 → $140~$145 구간에서 분할 매수 유효, $160 돌파 시 추가 진입 고려

 

[요약]

구간 전략
$140 이하 1차 분할 매수 구간 (지지 확인)
$160 돌파 추세 전환 확인 후 2차 매수
목표가 $185~200 (중기)
손절 기준 $122 이탈 시 단기 이탈 판단

 

6. 투자 전략

1. 펀더멘털적 투자 전략

 

AI·고성능 메모리(HBM) 기반 장비 수요 폭증 → 패키징·식각·증착 등 다공정 수혜
2023년 반도체 업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2024년 실적 반등세 진입
고마진 포트폴리오와 넓은 고객층으로 실적 방어력 확보
그러나, 중국 매출 비중 약 30%로 수출 규제 리스크 지속
Lam, TEL 등 경쟁사와 기술 격차 축소 가능성 → R&D 지속 투자 필요

 

📝 전략적으로,

"공정 전반을 아우르는 장비 포트폴리오와

AI 수요 특수는 분명한 장점이지만,
수출 규제와 지정학적 변수는 구조적인 리스크입니다.
분할매수 + 실적 확인 후 비중 조정 전략이 유효합니다."

 

2. 거시·산업적 투자전략

 

미국 반도체법(CHIPS Act) 수혜로 미국 내 생산 확대 및 지원금 수령 가능성
AI·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지속 → 장비 수요 확대 기대
하지만, 미중 갈등 장기화 → 중국 매출 위축 우려
2025년 미국 경제 둔화 시, 고가 장비 투자 지연 가능성 존재
글로벌 반도체 수요는 유효하지만, 정책·지정학 리스크는 여전히 구조적 변수

 

📝 전략적으로,

"AI 수요 확대는 장기 트렌드지만,

중국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둔화는 주가에 반복적으로 반영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 지지선 기준 분할매수 + 12개월 이상 장기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투자 요약]

구분 내용
지금 들어가도 될까? AI 수요 기대감 반영 중이나, 중국·정책 리스크 병존
➡️ 매수 전략 분기 실적 발표 후 성장 모멘텀 유지 여부
1차 관심 진입가 $140 부근 (200일선+기술적 지지)
2차 관심 진입가 $125 초반 (주봉 저점 매물대)
3차 리스크 구간 $115 이하 (코로나 이후 핵심 지지선)
전고점 가능성은? AI 수요·IRA 수혜 반영 시 $185~200 회복 가능성 있음.
중장기 관점 최소 12~18개월 이상 장기 대응 필요
주의할 점 🔹 수출 규제 리스크
🔹 중·저가 경쟁사 기술 추격
🔹 고객 투자 지연 가능성

📝 AMAT는 반도체 공정 전반을 커버하는 안정적인 장비 업체로,
AI 인프라 확대의 최대 수혜 후보 중 하나입니다.
다만, 중국 규제와 글로벌 경기 변수는 장기 대응을 필요로 합니다.

7. 구매 매력도
항목 별점 코멘트
성장성 ⭐⭐⭐⭐☆ AI·반도체 장비 수요 증가, 매출 지속 우상향
수익성 ⭐⭐⭐⭐⭐ 순이익률 25% 이상, 업계 최고 수준 유지
재무 안정성 ⭐⭐⭐⭐☆ 현금 흐름 탄탄, 부채 부담 낮음
밸류에이션 ⭐⭐⭐☆ PER 19배, 적정 수준이나 고평가 우려는 제한적
리스크 요인 ⭐⭐⭐ 미중 갈등·수출 규제 등 지정학 리스크 상존
기술적 진입 메리트 ⭐⭐⭐☆ 고점 대비 조정 마무리, 반등 초기 구간 추정

📝 “강한 펀더멘털에 기반한 장기 우량주.
지금은 단기 조정 구간에서의 분할매수 전략이 유효한 타이밍입니다.”

[Trading View]

[ 애널리스트 목표가는 다수의 리서치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예상 수치이며,
실제 주가 흐름은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8. 정리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pplied Materials, AMAT)는
반도체 공정 전반을 아우르는 세계 1위 종합 장비 제조사입니다.

 

AI·HBM 수요 확대, 미국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른 정책 수혜,
그리고 실적 개선 흐름이 맞물리며
2025년 하반기 현재, 반등 초기 구간에 진입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순이익률 25% 이상, ROE 3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기준 PER 약 19배는 동종 기술주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이 크지 않은 편입니다.

 

AMAT의 강점은 공정 전 라인업을 보유한 제품 포트폴리오
글로벌 커버리지(특히 미국, 아시아, 유럽을 아우름)에 있습니다.

 

다만, 중국 매출 비중이 약 30%에 달해
미·중 기술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수출 규제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 및 연구개발 투자 비중도 확대 중입니다.

 

하반기 반도체 장비 섹터 내에서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높은 종목으로,

분할 매수 전략과 실적 확인 후 단계적 비중 확대를 고려할 수 있으며, 장기 대응 측면에서의 접근도 유효해 보입니다.

★블로그 주인장의 투자 지표를 만들고자 분석한 내용을 공유하는 것 뿐, 포스팅에서 언급된 종목들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