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금리 브리핑 7

[금리]미 연준 금리 동결, 4월 예정된 한국도 동결?

미 현지 시각 3월 1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가 동결 결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4월에 발표를 앞 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 1. 기준금리 유지: 연준은 3월 18일-19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잠깐! 연준이 공개한 자료를 확인하고 가겠습니다.  1. 경제 성장률(GDP) 전망2025년: 1.7% (이전 전망: 2.1%) ⬇2026년: 1.8% (이전 전망: 2.0%) ⬇2027년: 1.8% (이전 전망: 1.9%) ⬇장기 전망: 1.8% (변동 없음)- GDP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 경제 성장 둔화 예상​2. 실업률(%) 전망2025년: ..

금값, 5년 사이 얼마나 상승했을까요?

굿모닝입니다. ^^ 금값이 어제(3월17일) 가자 공습에 다시금 최고가격을 뚫었습니다. 지난 2월 최고점 후 횡보하다 다시금 급격한 상승이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더 오를 것이라는 의견, 지금의 가격을 유지할 것이라는 의견까지 아직은 분분한 가운데 있습니다.  금값, 더오를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지난 5년 동안 금값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5년간 금값 상승률]  2020년 3월/1돈당 약 272,000원2025년 3월/1돈당 약 60,7000원123.16%상승(한국 실물 거래가)2020년3월/1온스 약 1,600달러2025년3월/1온스 약 3,000달러87.5%상승(국제 현물 거래가)금 현물가격과 실물가격이 차이가 있습니디. 그 이유를 잠시만 짚고 가겠습니다. 금 실물가격과..

고공행진 중인 금! 왜 안전자산이 됐을까요?

힘든 하루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투자하면 금을 빼놓을수 없습니다. 오늘은 안전자산 중 최고로 알려진 금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금은 언제부터 안전자산이었을까요? 그리고 고공행진 중인 금을 제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금이 안전자산이 된 이유] 금(Gold)은 오랜 기간 동안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는 경제적·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질 때 투자자들이 금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금이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은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역사적 가치와 희소성오랜 시간 화폐로 사용됨:금은 고대 문명(로마, 중국, 이집트)부터 화폐와 자산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1971년 닉슨 쇼크 이전까지는 달러와 금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금본위제가 유지되었을 만큼 신뢰도가..

[금리]미국 연준 금리 발표 DAY 1. 금리 발표 왜 중요한가?

안녕하세요^^미국 금리발표를 하루 앞둔 오늘, 금리와 미국 금리발표의 중요성 그리고 각국의 금리발표 일정을 준비해 보았습니다.모두 성공투자하세요!  [금리(Interest Rate)란]  금리란 돈을 빌릴 때 지급해야 하는 비용 또는 예금할 때 받는 이자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쉽게 접할 수 있는 ‘3.38% 대출금리. 5% 예금 이자’등 우리가 돈을 가지고 금융거래를 할 시 발생할 수 있는 ‘돈의 가격’입니다.  1. 금리의 종류 정책금리: 중앙은행(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이 경제 조절을 위해 설정하는 금리.대출금리: 은행이 개인이나 기업에게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예금금리: 은행이 예금한 고객에게 지급하는 금리.시장금리: 채권, 주식 등 금융시장에서 형성되는 금리. ..

엔비디아, 더 성장할 것인가?[3월18일(현지시간) GTC 2025 발표사항]

엔비디아의 CE0 젠슨황이 가죽자켓을 입고 등장한, GCT 2025 발표가 2시간 전 끝났습니다. 내용 정리해 드립니다.모두 성공투자하세요! [엔비디아, AI반도체 '블랙웰 울트라' 와 '베라 루빈' 출시 계획 발표]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 2025(그래픽반도체 기술 콘퍼런스)**에서 차세대 AI 반도체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두 가지 주요 반도체 공개:블랙웰 울트라(BW Ultra): 현 블랙웰 AI 반도체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베라 루빈(Vera Rubin): 2026년 하반기 출시 예정, 새로운 CPU 및 GPU 조합 반도체로 지금의 블랙웰 대비 2배 성능 향상.2027년에는 GPU 아키텍처를 기존 2개 다이(Die)에서..

[금리]일본 금리 발표, 일본의 고민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돈우드 인사드립니다.모두의 경제적자유를 위해 매일달려보겠습니다.감사합니다. 일본은행(BOJ)이 2025년 3월 19일 예정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일본은 오랜 기간 초저금리 정책을 유지해왔으나, 최근 인플레이션 상승과 글로벌 경제 변화 속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여전히 저임금 구조와 낮은 생산성 문제를 안고 있어 금리 인상이 경제 회복에 득이 될지 해가 될지에 대한 고민이 깊습니다. 일본의 이러한 금리 정책 결정은 일본 내부 경제뿐만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일본의 고민 1)금리 인상의 경우엔화 가치 상승: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면 엔화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금리]일본 금리 발표, 촉각을 세우는 이유가 있다.

안녕하세요! 모두의 성공투자를 위해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화이팅입니다! [일본 금리 정책] 1. 일본금리 정책의 영향력 일본은행(BOJ, Bank of Japan)의 금리 결정은 일본 경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특히, 일본이 세계 3위 경제 대국이며,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엔화가 주요 기축통화 중 하나이기 때문에 BOJ의 금리 정책은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2. 일본금리 정책의 배경 → 일본은 장기간 초저금리(제로금리 또는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해 왔습니다. → 1990년대부터 경제 성장 둔화와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을 막기 위해 일본은행은 금리를 0% 수준으로 낮추고, 대규모 금융완화(QE, 양적완화)를 시행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