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말, 코스피의 평균 PBR은 0.89배로 떨어지며 팬데믹 저점 수준까지 밀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PBR이 0.4배 수준으로 언급된 대표 저평가 종목 중 하나가 금호석유화학(011780)입니다.
실적도, 자산도 있는 기업인데 왜 이렇게 싸게 거래될까요?
진짜 '역사적 기회'인 걸까요, 아니면 시장이 먼저 눈치챈 리스크가 있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금호석유화학의
- 재무 건전성
- 수익성 및 성장성 흐름
- 밸류에이션(PBR·PER·PSR) 을 바탕으로,
‘저PBR 전략’의 실제 사례로서 이 기업을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
[기업개요]
- 정식 명칭: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설립 연도: 1970년
-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KOSPI)
- 주요 사업: 합성고무, 합성수지, 정밀화학, 에너지 사업
- 대표 제품:
- 합성고무(SBR, BR 등): 타이어, 신발,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
- 합성수지(ABS, EPS 등): 가전제품, 건축자재, 포장재 등에 사용
- 정밀화학(페놀, 아세톤 등): 산업용 화학제품
- 주요 수출국: 중국, 미국, 동남아 등
- 관계사: 금호피앤비화학, 금호미쓰이화학 등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매출액(수익) | 7조 9,756억 원 | 6조 3,225억 원 | 7조 1,550억 원 |
영업이익 | 1조 1,473억 원 | 3,589억 원 | 2,728억 원 |
영업이익률 | 약 14.4% | 약 5.7% | 약 3.8% |
자산총계 | 7조 7,174억 원 | 7조 9,796억 원 | 8조 3,402억 원 |
부채총계 | 2조 380억 원 | 2조 1,456억 원 | 2조 2,980억 원 |
자본총계 | 5조 6,792억 원 | 5조 8,340억 원 | 6조 422억 원 |
- 2022년: 코로나 이후 전방산업 회복과 석유화학 업황 호조로 영업이익 고점 기록.
- 2023년: 글로벌 수요 둔화와 단가 하락으로 매출·이익 모두 급감.
외환 손실 증가(612억 원)로 수익성에 부담.
그러나 자산·자본은 꾸준히 증가하며 재무 구조는 양호. - 2024년: 매출은 반등했으나, 수익성은 추가 둔화.
- 2021년이 피크였으며 이후 순이익과 순이익률 모두 하락세
- 2024년에는 수익이 소폭 회복됐지만 수익성(넷마진)은 2%대에 머무름.
- 부채는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을 유지, 자산 대비 장기부채 비중이 낮아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
- 2024년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음수로 전환된 점은 단기 유동성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
[2025년 1분기 잠정 실적 (연결 기준, 5월 9일 공시)]
항목 | 전년동기(’24.1Q) | 당기(’25.1Q) | 증감률 |
매출액 | 1조 6,675억 원 | 1조 9,082억 원 | ▲ 14.4% |
영업이익 | 786억 원 | 1,206억 원 | ▲ 53.4% |
당기순이익 | 1,025억 원 | 1,248억 원 | ▲ 21.7% |
-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4.4%, 당기순이익 +21.7%로 양호한 흐름.
- 증권가 예상치(영업이익 793억 원)를 크게 상회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 그러나 9일 오후 2시 53분경, 금호석유화학 주식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9.6% 하락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향]
- 5월 9일 실적 발표 당일, 주가는 -9.6% 급락.
- 이날 오후에는 과매도구간에 진입하며 주식선물 가격제한폭까지 확대 조치가 발동됨.
그 이유는 “좋았던 1분기 실적보다, 악화될 2분기 실적 전망”이 시장에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항목 | 컨센서스(2025년 2Q) | 전년 동기 대비 | 변화 추이 |
매출액 | 1조 9,604억 원 | ▲5.8% | 유지 |
영업이익 | 890억 원 | ▼25.3% | 3개월 전 대비 ▼3.6%, 1개월 전 대비 ▼1.8% |
- NB라텍스·합성고무 가격 약세,
- 관세 이슈로 수요처가 관망세 진입,
- 부타디엔·스티렌모노머 등 원재료 가격 하락 예상
→ 전반적인 제품 단가 하락 압력이 현실화되는 구조
항목 | 수치 |
시가총액 | 3.2조 원 |
PER | 10.1배 |
PBR | 0.5배 |
ROE | 5.9% |
PSR | 0.5배 |
배당수익률 | 1.93% (2024년 기준) |
외국인 지분율 | 18.1% |
- PER 10.1배: 화학 업종 평균과 유사하거나 소폭 상회.
→ 가격 메리트보다는 보수적 실적 전망 반영된 수준. - PBR 0.5배: 시장 저평가 상태 지속.
→ 자산 대비 시장가치 저평가로 가치 투자 매력 존재. - ROE 5.9%: 자본 효율성은 중간 수준.
- 배당수익률 1.93%: 과거 대비 낮지만 현금흐름 기반의 안정 배당 유지.
➡️ 금호석유화학은 단기 실적 성장 기대감은 낮지만,
저평가 상태에서 배당+내재가치 중심 장기 보유에 적합한 가치주로 평가됩니다.
기업명 | 주요 사업 분야 | 비고 |
LG화학 | ABS, PC, NBL 라텍스, 배터리 소재 등 | 종합 화학 + 이차전지 양극재 |
롯데케미칼 | 석유화학(PE, PP), 모노머, 고부가 소재 | 범용 석유화학 중심, 친환경 전환 중 |
한화솔루션 | PVC, 태양광, 정밀화학 등 | 에너지·케미칼 혼합 포트폴리오 |
SKC | PO, PET, 모빌리티 소재, 전자소재 | 고기능소재 중심 전환 중, 반도체·배터리 필름 |
효성화학 | 폴리프로필렌(PP), TPA, 폴리에스터 | 수직계열화 강점, 탄소섬유 확대 중 |
OCI홀딩스 | 폴리실리콘, 카본블랙, 반도체 기초소재 | 반도체 소재로 재편 중 |
- LG화학:
→ 배터리·화학 양날개 전략, 하지만 최근 2차전지 부문 부진으로 수익성 악화. - 롯데케미칼:
→ 범용 석유화학 대표주자, 안정적이지만 단가·수요 민감도 높음. - 한화솔루션:
→ 친환경·태양광 중심 구조 전환 중, 수익성 회복까지 시간 필요. - SKC:
→ 고부가 전자소재 중심 체질 개선 진행, 단기 실적 변동성 크고 적자 지속. - 효성화학:
→ PP 등 기초소재 중심, 실적 부침 크고 수출 의존도 높은 편. - OCI홀딩스:
→ 폴리실리콘 중심 반도체 소재 전환 중, 안정적이지만 성장성은 제한적.
기업명 | 시가총액(억원) | PER | PBR | POE(%) |
금호석유화학 | 35,174 | 11.17 | 0.5 | 5.88 |
LG화학 | 155,557 | N/A | 0.49 | -2.11 |
롯데케미칼 | 51,396 | 10.3 | 0.4 | 3.2 |
한화솔루션 | 56,031 | N/A | 0.6 | -15.99 |
SKC | 38,361 | N/A | 2.915 | -34.34 |
효성화학 | 1,475 | N/A | -2.162 | 10663.68 |
OCI홀딩스 | 12,625 | 13.41 | 0.43 | 2.54 |
[금호석유화학 특장점]
- NB 라텍스 글로벌 1위 점유율
→ 의료용 장갑 등 위생소재 분야에서 독보적 경쟁력 확보. - ABS·합성수지 분야 수익성 강세
→ 경기 민감 업종 내에서도 안정적 이익 창출 기반 보유. - 보수적인 재무 전략과 저부채 구조
→ 변동성 높은 화학 업황 속에서도 재무 건전성 유지. - 합성고무-합성수지-정밀화학의 균형 포트폴리오
→ 특정 제품 의존도 낮고, 외형보다 수익성 중심 경영.
➡️ 화학 업종은 사이클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만큼, 동종 업계 주요 기업들과의 비교 분석이 투자 판단에 필수적입니다.
금호석유화학은 범용 제품 위주의 경쟁사들과 달리, 특수 소재 중심의 고부가 수익 구조와 보수적인 재무 전략으로 차별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 펀더멘털– “수익성은 회복, 하지만 지속성은 불투명”
- 1분기 실적은 서프라이즈였지만,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25% 하향
→ 단기 호실적이 ‘물량 밀어내기 효과’일 수 있다는 우려 - ROE 5.9%, PER 10배 수준으로 밸류 부담은 낮지만 성장성엔 한계
- 이차전지 등 고부가 신사업 성장이 더딘 편
2. 산업·시장 구조적– “수요 부진 + 제품 단가 하락 압력”
- NB라텍스, 합성고무, ABS 전방 수요 회복 지연
→ 타이어·의료용 장갑 등 주요 수요처의 보수적 발주 지속 - 부타디엔, 스티렌모노머 등 원재료 가격 하락
→ 완제품 가격도 동반 하락 가능성 - 중국발 공급과잉 + 글로벌 경기 둔화로 구조적 압력 확대
3. 기술적 차트 – “단기 과매도 신호는 있지만 추세 반전은 미지수”
- 5월 9일 주가 -9.6% 급락
→ 실적 발표일에 오히려 하락 - 110,000원 지지 실패 시 105,000원 이하 열릴 가능성
- 선물 시장에서 가격제한폭 2단계 확대까지 발동 → 매도세 강도 매우 높음
4. 정책·대외 변수 – “트럼프 관세 리스크 본격 반영 시기”
- 미국발 보호무역 강화 우려
→ 중국·한국 화학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 가능성 확대 - 전방 수요처의 선출하(물량 밀어내기) 효과 이후
→ 2분기 수요 공백 구간 진입 가능성
➡️ “1분기 실적은 좋았지만, 2분기부터 수요 둔화·가격 약세·정책 변수까지 삼중 부담.
단기 반등보다는 리스크 관리형 접근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1. 장기 흐름- 월봉
- 298,500원(2021년 5월) → 현재 114,300원, 약 -60% 조정 후 장기 박스권 진입.
- 저점은 2022년~2023년 사이 꾸준히 높아지는 흐름 보이며 바닥 다지기 구간.
- 60월선(122,500원) 아래 위치, 중장기 추세 반전은 아직 불확실.
- 거래량은 점진적 감소 → 장기 매물 소화 구간 진입으로 해석 가능.
➡️ “장기 낙폭 과대 이후 바닥 다지기 중이나, 추세 전환은 아직 불확실”
2. 중기 흐름- 주봉
- 2024년 7월 고점 167,000원 이후 급락, 87,300원까지 저점 형성.
- 이후 반등 흐름 속에서 110,000~120,000원 박스권 재진입.
- 20주선·60주선 모두 아래에 위치, 중기 매물 부담 여전.
- 스토캐스틱 과매도권 → 기술적 반등 가능성은 존재.
➡️ “주봉상 120,000원 돌파 시 중기 반등세 유효, 그 이하면 재조정 경계”
3. 단기 흐름- 일봉
- 5월 초 132,400원 고점 후 단기 급락(-13.6%), 이익실현 매물 출회및 실적발표 후.
- 114,300원 지지 시도 중이나, 단기 하방 압력 강한 구간.
- 5일·20일선 이탈, 60일선(104,800원)까지 열려 있음.
- 거래량 증가 + 하락 → 단기 투매성 매도 강세 신호.
➡️ “110,000원 지지 여부 중요, 무너지면 105,000원대 2차 지지라인 확인 필요”
[요약]
구간 | 전략 |
120,000원 이상 | 중기 추세 반등 확정 구간, 저항 강함. |
110,000원~115,000원 | 기술적 반등 시도 가능 구간, 거래량 확인 필요. |
105,000원 이하 | 과매도 구간 접근, 분할 매수 고려 가능. |
1. 펀더멘털적 투자 전략
금호석유화학은 NB라텍스·합성고무·ABS 중심의 석유화학 기업으로, 글로벌 NB라텍스 점유율 1위라는 특수 소재 경쟁력을 갖춘 전통 강자입니다.
2025년 1분기에는 영업이익 1,2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53.4% 증가하며,
지속되던 경영권 분쟁(‘조카의 난’) 종료로 지배구조 불확실성 해소까지 이뤄졌습니다.
그러나 실적대비 2분기 수익성 둔화 우려에 주식은 당일 -9%이상 급락했습니다.
PBR 0.5배, ROE 5.9%로 시장 저평가 상태가 뚜렷하며, 안정적 배당 지급과 보수적인 재무구조도 장점입니다.
📝 전략적으로,
“펀더멘털은 확실히 개선 흐름이지만,
2분기부터 수익성 둔화 우려가 반영되며 시장 신뢰는 보수적입니다.
‘실적은 반영됐고, 리스크는 남아 있는’ 구간이므로 가치 중심의 분할 접근이 유효합니다.”
2. 거시·산업적 투자 전략
금호석유화학은 석유화학 사이클, 중국 공급과잉, 글로벌 관세 정책, 2차전지 시장의 테마성 기대감 등
복합적인 외부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1분기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 2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오히려 하향 조정 중 (영업이익 -25%)
- 부타디엔·SM 가격 하락 → 제품 단가 하락 우려
- 트럼프發 관세 전쟁 리스크 본격화로 수출 비중 높은 화학업계에 부정적
→ 결과적으로 주가는 발표 당일 -9.6% 급락, 선물 시장 가격제한폭 확대까지 유도했습니다.
📝 전략적으로,
“단기 실적은 긍정적이지만, 중기적 수요 둔화와 정책 리스크는 여전합니다.
가격 메리트는 존재하나, 업황 반등 확인 전까지는 리스크 관리형 대응이 필요합니다.”
[투자 요약]
구분 | 내용 |
지금 들어가도 될까? | 기술적 급락 이후 반등 시도 구간이나, 반전 추세는 아직 불확실 |
➡️ 매수 전략 | 110,000원 지지 확인 시 분할 접근, 하단 열릴 경우 105,000원대 추가 확인 |
1차 관심 진입가 | 110,000원 (단기 지지라인, 반등 초입 가능성) |
2차 관심 진입가 | 105,000원 (과거 저점 구간, 기술적 매수대 근접) |
3차 리스크 구간 | 98,000원 이하 (중장기 추세선 이탈 가능성, 손절 판단 필요) |
전고점 가능성은? | 실적 모멘텀 회복 시 130,000원대 / 중기 140,000원 회복 가능 |
중장기 관점 | 실적 안정화 + 관세 불확실성 해소 필요 / 6~12개월 유연 대응 전략 |
주의할 점 | 🔹 관세·정책 변수 확대 가능성 🔹 제품단가 하락 지속 🔹 실적 모멘텀 둔화 🔹 테마 기대감 약화 |
➡️ "NB라텍스 1위+저PBR 가치 매력은 유효적
다만, 2분기부터 실적둔화. 정책 리스크 반영구간이므로 분할접근+보수적 시각필요
항목 | 내용 | 별점 |
저평가 매력 | PBR 0.5배 / PSR 0.4배 / ROE 대비 낮은 PER. 자산 대비 확실한 저평가 구간. | ★★★★★ |
펀더멘털 안정성 | 실적 회복세는 뚜렷하나, 2분기 이후 수익성 변동성과 업황 리스크는 여전함. | ★★★★☆ |
성장성 | 특수 소재 강점은 있으나, 전통 화학업종 특성상 폭발적 성장 기대는 제한적. | ★★★☆☆ |
배당 매력 | 배당수익률 1.9% 수준. 예금보다는 높지만 고배당주로 보기엔 다소 약한 편. | ★★★☆☆ |
기술적 흐름 | 단기 급락 이후 반등 시도. 월봉 추세는 안정적이지만, 110,000원 지지 실패 시 재하락 가능성 존재. | ★★★★☆ |
리스크 수준 | 2분기 실적 둔화·관세 리스크 등 외부 요인 민감. 실적 선방했지만 투자심리는 여전히 불안정. | ★★★☆☆ |
“PBR 0.5배, 실적 개선, NB라텍스 글로벌 경쟁력 → 분명한 저평가 우량주.”
“다만, 2분기 실적 피크아웃 우려 + 관세·수요 둔화 리스크는 단기적으로 반영 중.”
✅ 중기 보유형 가치주로서의 매력은 충분하며,
"단기 트레이딩보다 실적 회복에 베팅하는 분할 매수 전략”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 애널리스트 목표가는 다수의 리서치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예상 수치이며,
실제 주가 흐름은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금호석유는 2025년 5월 9일, 1분기 실적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향 영향으로 주가는 급락했습니다.
PBR 0.5배, PSR 0.5배는 명백한 저평가 구간이나,
수익성 둔화·전방 수요 부진·제품 가격 약세 등 구조적 리스크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1분기 호실적이 ‘일시적 선출하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보수적인 재무 전략과 NB라텍스 글로벌 1위 경쟁력은 분명한 내재가치로 작용합니다.
PER 10배, ROE 5.9%는 부담 없는 수준이며,
산업 사이클 저점 통과 후에는 빠른 리레이팅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현재는 기술적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지만,
추세 전환 확인 이후 진입이 더 안전합니다.
지금은 싸다. 하지만, 싸다고 아무 때나 사면 위험하다.
배당+가치 중심의 중장기 전략이 유효한 구간입니다.
★블로그 주인장의 투자 지표를 만들고자 분석한 내용을 공유하는 것 뿐, 포스팅에서 언급된 종목들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삼성전기(009150) (159) | 2025.05.16 |
---|---|
[한국] SK(034730) (130) | 2025.05.15 |
[한국] POSCO홀딩스(005490) (115) | 2025.05.13 |
[한국] 네이버(035420) (94) | 2025.05.12 |
[한국] HDC현대산업개발(294870) (100) | 2025.05.12 |